분류 전체보기28 스프링 bean ✅ 먼저, “빈(Bean)”이란?Spring Container가 관리하는 객체를 “Bean”이라고 합니다.쉽게 말해:"Spring이 대신 생성해주고, 생명주기를 관리해주는 객체"개발자가 new 키워드로 직접 생성하지 않아도 되며,필요한 곳에 @Autowired나 생성자 주입으로 끼워 넣을 수 있게 됩니다.✅ 이 흐름에서 Bean으로 등록된 클래스들당신이 업로드 처리에서 사용하는 주요 클래스들 중 다음 3개는 모두 Bean입니다:클래스어노테이션역할MultipartController@RestController요청 받기MultipartService@Service업로드 처리 로직FileUtil@Component파일 저장 유틸 클래스✅ Bean이 이 흐름에서 하는 일은?1. Spring이 객체를 대신 생성한다ja.. 2025. 4. 11. 싱글톤 패턴 싱글톤 패턴(Singleton Pattern)싱글톤 패턴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특정 클래스가 단 하나만의 인스턴스를 생성하여 사용하기 위한 패턴이다. 생성자를 여러 번 호출하더라도 인스턴스가 하나만 존재하도록 보장하여 애플리케이션에서 동일한 객체 인스턴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. 싱글톤 패턴을 사용하는 이유커넥션 풀, 스레드 풀, 디바이스 설정 객체 등과 같은 경우 인스턴스를 여러 개 만들게 되면 불필요한 자원을 사용하게 되고, 프로그램이 예상치 못한 결과를 낳을 수 있다. 따라서 객체를 필요할 때마다 생성하는 것이 아닌 단 한 번만 생성하여 전역에서 이를 공유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싱글톤 패턴을 사용한다. 싱글톤 패턴의 장단점장점유일한 인스턴스 : 싱글톤 패턴이 적용된 클래스의 인스턴.. 2025. 4. 11. Jsp listener ▶ Slide 1: Listener란?정의: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**특정 이벤트(시작, 종료, 세션 등)**가 발생할 때 자동으로 동작하는 감시자 역할의 컴포넌트비유: CCTV처럼 이벤트를 감지하고 자동 반응함예시:애플리케이션 시작 시 초기화 작업 수행세션 생성 시 로그인 처리요청 시작/종료 시 로깅 등▶ Slide 2: 주요 Listener 종류리스너 인터페이스감지하는 이벤트ServletContextListener웹 애플리케이션 시작/종료HttpSessionListener세션 생성/소멸ServletRequestListener요청 생성/소멸HttpSessionAttributeListener세션 속성 변경ServletContextAttributeListenercontext 속성 변경▶ Slide 3: Ht.. 2025. 4. 8. Jsp filter @WebServlet("/filter/*")public class F_filter extends HttpServlet { @Override protected void doGet(HttpServletRequest req, HttpServletResponse resp) throws ServletException, IOException { String url = req.getRequestURI(); String[] urlArr = url.split("/"); switch (urlArr[urlArr.length - 1]) { case "error": throw new C.. 2025. 4. 8. Jsp session 🟦 세션(Session)이란?사용자(브라우저)와 서버 사이의 "상태(state)"를 유지하기 위해 서버에서 관리하는 저장소입니다.즉, 서버가 사용자를 구분해서 로그인 정보, 장바구니 등 중요한 상태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.✅ 세션은 왜 필요한가?HTTP는 Stateless → 요청을 주고받을 때 누가 누구인지 모름사용자가 로그인했는지, 어떤 글을 썼는지 서버가 기억할 수 없으면 불편그래서 서버가 사용자를 구분해서 기억하기 위한 공간이 바로 Session🔁 세션의 동작 원리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처음 접속하면,서버는 세션 객체를 생성하고 고유 ID(JSESSIONID)를 발급함서버는 이 ID를 쿠키를 통해 클라이언트에게 전달이후 클라이언트가 요청할 때마다 이 ID를 함께 전송서버는 이 ID로 해.. 2025. 4. 8. Jsp cookie ▶ Slide 1: Cookie란?정의: 클라이언트(브라우저)에 저장되는 작은 데이터 조각 → 사용자의 상태나 정보를 브라우저에 기억시켜 두기 위해 사용▶ Slide 2: 쿠키는 왜 필요할까?웹은 기본적으로 상태를 기억하지 못하는(stateless) 구조로그인했는지, 장바구니에 뭘 담았는지 서버는 원래 모름그래서 상태를 기억하기 위해 클라이언트에 저장하는 방식이 쿠키▶ Slide 3: 쿠키 동작 원리서버가 쿠키를 생성해서 응답(Response)에 담아 보냄브라우저는 쿠키를 저장이후 같은 사이트에 요청할 때 자동으로 쿠키를 함께 보냄요청 예:GET /mypageCookie: userid=kim123; theme=dark;▶ Slide 4: 쿠키 특징항목설명저장 위치클라이언트(브라우저) 내부저장 방식key-.. 2025. 4. 8. 이전 1 2 3 4 5 다음